‘해가(海歌)’는 신라 때부터 전해진 노래로 구지가와 같은 계통의 향가이다. 이 노래의 시원은 신라 성덕왕 때 수로부인이 동해의 해룡에게 잡혀 가자 남편인 순정공이 마을 사람들을 동원해서 불렀다고 하는데서 전해진다.

 

김해에 전하는 가야국의 구지가가 건국 신화 속에서 창출된 신군을 맞이하는 주술적 요소가 강한데 비해, 해가는 신라시대 민간에 널리 전승이 되어, 액을 막고 소원성취를 비는 기원성이 짙은 노래였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두 노래 모두 집단가무로 많은 사람들이 함께 불렀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이로 보아 당시에도 많은 사람들이 즐겨 모여 부르는 이러한 노래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곳의 구지가, 서로 달라

 

그런데 이 해가사에는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가락국기에 보면 가락국 시조인 김수로왕의 강림 신화 속에 삽입된 노래인 <구지가>가 있다. 이 구지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龜何龜何(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머리를 내어라)

若不現也(내어 놓지 않으면) 燔灼而喫也(구워서 먹으리)

 

이와는 달리 삼척지방에 전하는 해가사는

 

구호구호출수로(龜乎龜乎出水路) 거북아 거북아 수로부인을 내어라.

약인부녀죄하극(掠人婦女罪何極) 남의 아내를 앗은 죄 얼마나 크냐.

여약패역불출헌(汝若悖逆不出憲) 네 만약 어기어 내 놓지 않으면

입망포략번지끽(入網捕掠燔之喫) 그물을 넣어 잡아 구워 먹으리.

 

라고 되어있다. 해가사의 창출근거를 보면 삼국유사 기이 제2 수로부인조에 전하는 내용으로 「신라 제33대 성덕왕(聖德王) 때에 순정공(純貞公)이 명주(지금의 강릉)태수로 부임하는 도중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는데, 곁에 바위 산봉우리가 있어 병풍과 같이 바다를 둘렀다. 높이가 천 길이나 되고, 그 뒤에 철쭉꽃이 만발하게 피어 있었다. 공의 부인인 수로가 좌우를 향해 "누구 꽃을 꺾어 올 사람이 없느냐?" 하였다. 모시던 사람들은 그 말에 아무도 대답을 하지 못했다.

 

 

 

마침 그 때 한 늙은이가 암소를 끌고 지나가다가 부인의 말을 듣고 그 절벽을 타고 올라가 꽃을 꺾어, ‘자줏빛 바위 가에 잡은 손 놓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라는 헌화가(獻花歌)와 함께 부인에게 바쳤다. 일행은 명주를 향해가다가 그 이틀 뒤에 임해정(臨海亭)이라는 곳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는데, 문득 바다에서 용이 나타나서 부인을 끌고 바다 속으로 들어갔다. 사람들이 모두 놀라고 순정공도 허둥지둥 발을 구르나 계책이 없었다.

 

그 때 또 한 노인이 말하되 ‘옛날 말에 여러 입은 쇠도 녹인다고 하니, 이제 바다 속의 미물인들 어찌 여러 입을 두려워하지 않으리오. 경내의 백성을 모아서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기로 언덕을 치면 부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오.’ 라고 하였다. 공이 말대로 하였더니 용이 부인을 받들고 나와 도로 바치었다.

 

공이 부인에게 바다 속 일을 물으니 부인이 말하기를 ‘칠보(七寶)로 꾸민 궁전에 음식이 맛이 있고 향기로우며, 깨끗하여 속세의 요리가 아니다.’ 고 하였다. 부인의 옷에서는 세상에서 일찍이 맡아보지 못한 특이한 향기가 풍기었다. 수로부인은 절세의 미인이라 깊은 산과 큰못을 지날 때마다 여러 번 신물(神物)에게 붙들림을 당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왜 용이 아닌 거북이를 구워먹는다고 했을까?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수로부인을 바다 속으로 끌고 들어간 것도 용이고, 노래를 듣고 다시 수로부인을 놓아준 것도 용인데, 왜 거북이를 구워먹는다고 했을까? 난 속 좁은 소견으로 이렇게 유추해본다. 첫째는 우선 용은 임금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용을 구워먹는다는 것은 곧 임금을 해하려는 음모로 역적이 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둘째로는 우리 설화 등에 보면 거북이는 용왕의 사자로 많이 표현이 되고 있다. 별주부전 등을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토끼를 잡으러 거북이가 뭍에 오른다. 즉 용왕의 충실한 사자인 거북이를 해하는 것이 두려운 용왕이 수로부인을 다시 되돌려 보냈다는 생각이다. 이런 향가 한수에도 당시 사람들의 심성을 알 수 있으며, 우리 선조들의 올곧은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지 않은가.

 

동해시에서 삼척을 향해 7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삼척MBC가 보인다. 이곳을 지나 증산해수욕장과 수로부인공원이라는 이정표를 따라가면 고가도로 밑을 통과해 좌회전을 하게 된다, 약간 경사진 길을 오르다가 보면 우측에 성황당사가 있고 조금 더 가면 시원한 동해가 펼쳐진다. 사기에 적힌 ‘임해정(臨海亭)’은 2004년 동해를 바라보는 자리에 조그맣게 꾸며져 신라 때 이곳을 지나던 수로부인을 생각하게 만든다.

 

그 미모가 얼마나 출중했으면 가는 곳마다 신물들이 나타나 수로부인을 취하려 했을까? 작은 임해정에 올라 동해를 바라다보니, 마침 바람이 부는 날이라서 동해의 작은 파도들이 앞 다투어 밀려든다. 백사장에 옹기종기 모여 앉은 갈매기 떼들은 한 곳을 바라보며 파도가 밀려들어도 요동도 하지 않고 있다. 흡사 당시 막대기로 언덕을 치던 사람들을 연상케 한다. 그리고 저 편에 서 있는 추암해수욕장의 촛대바위는 그 때 수로부인을 끌고 바다 속으로 들어간 용의 화신은 아닐는지.

 

 

이곳을 경주에서 명주(강릉)로 가는 길목 중에 해가사의 장소로 여기는 것은 설화를 배경으로 유추한 것이다. 삼국사기 어느 곳에도 헌화가와 해가를 불렀던 장소가 기록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이곳에서 멀지 않은 임원해수욕장 근처에는 마을 사람들이 수리봉, 혹은 수로봉이라고 부르는 곳이 있다고 한다. 앞으로 지역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지면 그때는 좀 더 근접한 장소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아무튼 수로부인과 해가의 장소인 임해정은 그렇게 동해를 바라보며 다소곳 자리하고 있었다.

천혜의 신비를 간직한 무릉계곡은 국민관광지 제77호로 1977년에 지정이 된 곳으로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에 있는 계곡이다.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로 형성된 무릉계곡은 호암소로부터 시작하여 약 4km 상류에 있는 용추폭포가 있는 곳까지를 말한다. 넓은 바위 바닥과 바위 사이를 흘러서 모인 넓은 연못이 볼만한 무릉계곡은 수백 명이 앉을만한 무릉반석을 시작으로 계곡미가 두드러지며 동해시 중심지에서 서쪽으로 10㎞ 지점에 있다.

 

산수의 풍경이 중국 고사에 나오는 무릉도원과 같다 하여 무릉계곡이라 부르며, 소금강이라고도 한다. 시의 동쪽에 솟아 있는 두타산(1,353m)·청옥산(1,404m)·고적대(1,354m) 등에서 발원한 소하천들이 계곡을 흘러 전천을 이룬다. 삼화사, 학소대, 옥류동, 선녀탕 등을 지나 쌍폭, 용추폭포에 이르기까지 숨 막히게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진다.

 

 

금란정과 수많은 글들이 적혀있는 무릉반석(아래)

 

기암괴석이 아름다운 곳

 

일명 무릉도원이라 불리는 이곳은 고려 시대에 동안거사 이승휴가 살면서 『제왕운기』를 저술하였고, 조선 선조 때 삼척부사 김효원이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기암괴석이 즐비하게 절경을 이루고 있어 마치 선경에 도달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조선전기 4대 명필가의 한 분인 봉래 양사언의 석각과 매월당 김시습을 비롯하여 수많은 시인묵객들의 시가 1,500여 평의 무릉반석에 새겨져 있다.

 

이 무릉반석이 있는 곳에 정자 하나가 서 있다. 금란정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는 정자는 무릉반석 곁에 노송 몇 그루와 바위들로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금란정은 조선조 말 향교인 명륜당에서 공부를 하던 유생들이 1910년 강제로 한일합방이 되고 향교가 폐지되자, 그 분을 이기지 못한 유생들이 모여 금란계(金蘭契)를 조직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금란정을 이곳에 짓기로 하였으나 일본의 관헌들에 의해서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명승 무릉계곡

그 후 1945년 조국의 광복을 맞이해 당시 유림선비들의 자손들이 모여 선대의 뜻을 기리고자 이 정각을 세우고 금란정이라 현판을 걸었다. 지금도 매년 봄, 가을에 계원들이 모여 시회(詩會)를 열고 그 뜻을 기리고 있다.

 

새롭게 선경에 조성한 금란정

 

깨끗하게 정리가 된 금란정은 근자에 들어 새롭게 조성한 정자다. 아마 1945년에 지은 것을 부수고 다시 조성한 것처럼 보인다. 옆에 맑은 물이 흐르는 무릉반석에는 깊게 판 많은 글자들이 사람의 눈길을 끈다. 한문으로 된 문구들을 바라보며 학식이 없음을 탓한다. 어찌하랴, 워낙 재주가 없다보니 그냥 바라다 보고만 있어야지.

 

누가 같이 동행을 한 것도 아니고 그저 그 반석의 넓이나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의 장관에 취해 잠시 정자는 잊었다. 흐르는 맑은 물을 바라보고 있자니 이해가 간다. 이 절경을 보고 시 한수 읊지 않는다면 어찌 시인이라 할 수 있겠는가? 이 아름다움에 취해 흥얼거리지 않는다면 어찌 묵객이라 할 수 있겠는가? 나라를 잃은 울분을 이곳에 와 정자를 지어 풀어버리려고 했던 분들의 마음을 알 것도 같다. 모든 것을 다 버리고 이곳에서 살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았으니 그분들도 그런 심정이지나 않았을까.

 

 

금란정을 찾아가는 길은 동해시 무릉계곡을 찾아 계곡 입구에서 삼화사 쪽으로 올라가다가 보면 일주문 전에 정자가 있다. 무릉계곡을 찾아가는 길은 동해시 효가 사거리 - 우회전 - 4.4km - 삼화동3거리 - 좌회전 - 5.3km - 무릉계곡 주차장으로 들어가 매표소를 지나 다리를 건너 조금만 올라가면 된다. 현지교통을 이용하려면 동해시외버스터미널-무릉계곡으로 30분 간격으로 운행을 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비가 내리는 날이면 생각나는 누각이 있다. 바로 영월 영흥리 시내 한복판에 있는 관풍헌의 자규루다. 이상하게 영월에 답사를 갈 때마다 비가 쏟아졌다. 자규루에 올랐을 때는 비바람이 심해 답사를 하기도 어려울 정도였다.

 

자규루는 영월의 동헌이었던 관풍헌에 속해 있는 누각이다. 이 자규루는 원래 세종10년인 1428년에 영월군수 신숙근이 창건한 누각으로 ‘매죽루’라 불렀다고 한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청령포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청령포가 홍수를 인해 침수가 되자 관풍헌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단종임금은 이곳에서 생활을 할 때 이 누각에 올라 ‘자규사’와 ‘자규시’를 지었다고 전한다.

 

 

달 밝은 밤에 두견새 두런거릴 때(月白夜蜀魂啾)

시름 못 잊어 누대에 머리 기대니(含愁情依樓頭)

울음소리 너무 슬퍼 나 괴롭네(爾啼悲我聞苦)

네 소리 없다면 내 시름 잊으련만(無爾聲無我愁)

세상 근심 많은 분들에게 이르니(寄語世上苦榮人)

부디 춘삼월엔 자규루에 오르지 마오(愼莫登春三月子規樓)

 

단종임금은 누각에 올라 자신의 신세를 이렇게 한탄했다. 『장릉지(莊陵誌)』에 전하는 자규사다. 단종임금은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면서 이렇게 슬픈 나날을 보냈다. 장릉지에는 또 한 수가 전한다.

 

 

 

한 마리 원한 맺힌 새가 궁중을 떠난 뒤로(一自寃禽出帝宮)

외로운 몸 짝 없는 그림자 푸른 산속을 헤맨다(孤身隻影碧山中)

밤이 가고 또 다시 와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假面夜夜眠無假)

해가 가고 또 가도 한은 끝이 없구나(窮恨年年恨不窮)

두견 소리 끊어진 새벽 산봉우리 달빛만 흰데(聲斷曉岑殘月白)

피를 뿌린 듯한 봄 골짜기에 지는 꽃만 붉구나(血流春谷洛花紅)

하늘은 귀머거리인가? 애달픈 하소연 어이 듣지 못하는고(天聲尙未聞哀訴)

어찌하여 수심 많은 이 내 귀만 홀로 밝은고(何奈愁人耳獨聽)

 

통한의 시다. 자신의 처지가 얼마나 비통했으면 이런 시를 남겼을까? 비가 쏟아지는 자규루에 올라 앞에 보이는 관풍헌을 바라다본다. 영월 동헌의 객사인 관풍헌은 조선조 태조 7년에 건립이 되었다. 이곳으로 옮겨 온 단종임금은 이듬해인 세조 3년인 1457년 10월 24일, 세조가 금부도사 왕방연을 시켜 내린 사약을 마시고 17세의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현재 관풍헌은 신라 문무왕 8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보덕사의 포교당으로 쓰이고 있다. 매죽루였던 이 정자는 단종임금으로 인해 자규루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 후 선조 38년에 큰 홍수로 인해 허물어진 것을, 정조 15년에 강원도 관찰사 윤사국이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쏟아지는 비는 단종임금의 눈물인지. 관풍헌 앞마당에서 사약을 마시고 피를 토하고 쓰러졌을 모습을 생각하니 눈물이 흐른다. 세상사 다 그런 것이라지만, 권력 앞에서는 숙부와 조카도 없는 것인지. 지금의 돌아가는 나라꼴을 생각하니 불현듯 자규루가 생각이 난다. 지금처럼 비가 내리는 날 찾았던 자규루. 그곳에는 영원히 씻을 수 없는 권력의 아픔이 있었다

경기도 광주시의 남한산성에서 정동으로 길을 잡으면 그 끝은 어디일까? 그 종착지는 바로 추암해수욕장이다. 추암해수욕장은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 있다. 그리고 이 추암해수욕장의 한편에는 해암정이라는 평범한 암자가 자리하고 있다.

 

해암정은 뒤로 동해바다가 넘실거린다. 그러나 그 동해의 넘실거리는 파도는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어 오히려 한가함을 느끼게 만든다.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해암정은, 공민왕 10년인 1361년에 처음으로 지어졌으니 벌써 역사가 650년에 이른다.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지은 정자

 

해암정은 삼척 심씨의 시조인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내려와 여생을 보내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심동로는 이곳에서 시를 짓고 후학들을 키우기 위해 이 정자를 지었다. 그 후 몇 번 중건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는 역사가 깊은 정자다.

 

해암정은 평범한 정자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크지 않은 모습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한편은 방을 두었으며 또 다른 반은 마루를 깔았다. 마루 뒤편에는 동해 파도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나무문을 내었다.

 

 

 

아마도 해암정의 뒤편을 돌아보지 않았다면, 이 해암정이야말로 가장 평범한 곳에 자리한 평범한 정자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 뒤편을 돌아보면서 해암정과 뒤편 동해안의 모습에 깜짝놀란다. 한 마디로 반전의 극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정자 주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어

 

심동로는 이 해암정을 후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 지었다. 해암정을 둘러보면 심동로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뒤에 솟아 난 기암괴석을 넘지 않는 소탈한 정자다. 그 안에는 심동로의 겸손이 배어 있다. 옛 조상님들은 이렇게 자연을 넘지 않았다. 스스로 자연의 일부분임을 깨닫고, 후대들에게 알려주고자 했다.

 

 

 

해암정을 비켜서 우측으로 오르면 그 유명한 추암이 있다. 흔히 촛대바위라고 하는 추암은 그 모양새가 특이해 절경으로 꼽힌다. 촛대바위는 매년 수만 명이 찾아드는 명소다. 1월 1일에는 일출을 보기 위해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이곳에는 산책로를 비롯해 전망대 등이 있다. 요즈음에는 이 추암이 분열이 되고 있다고 하여 보존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추암해수욕장과 촛대바위 그리고 해암정. 이렇게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곳은 흔치가 않다. 절경과 정자 그리고 해수욕장 이 세 가지가 한데 어우러져 동해안의 절경 중에서도 손꼽을 수 있는 곳이다.

 

 

난 이 해암정을 찾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 있다. 바로 해암정을 처음 건립한 심동로의 마음이다. 자연을 넘어서지 않고 자연 안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일깨운다는 것은, 곧 겸손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겸손을 후학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지은 정자가 바로 해암정이다. 그래서 해암정은 화려하지도 않고 크지도 않다. 그저 다소곳 자연 안에 순응되어 간다.

어제시란 임금님의 시를 말한다. 조선조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한 정자가 있다. 강원도 영월군 수주변 무릉리. 정자 앞에는 커다란 바위에 마애불이 있고, 작은 정자에는 요선정이란 현판과 함께, 모성헌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아마도 임금을 그린다는 뜻인가 보다.

요선정(邀僊亭)은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1915년에 무릉리에 거주하는 요선계 회원들이 지은 이 정자는, 앞으로는 저 아래 계곡으로 남한강의 지류인 주천강이 흐르고 있다. 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정자 앞 바위에는 마애불이 새겨져 있고, 석탑 1기가 있어 이 정자가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인에게 빼앗길 뻔하다

더욱 조선 19대 숙종임금이 쓴 어제시를 봉안하고 있다는 것이, 역사적 가치를 갖게 만든다. 그래서 이 작은 정자가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요선정에 걸린 어제시는 숙종 임금이 직접 하사한 것이다. 원래는 주천면 서북쪽으로 흐르는 주천강 북쪽 언덕에 위치하였던 ‘청허루(淸虛樓)’에 봉안하였으나,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청허루가 붕괴되었다.

그 후 숙종의 어제시 현판을 일본인 주천면 경찰지소장이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요선계 회원들은 일본인이 숙종대왕의 어제시 현판을 소유하였다는데 거부감을 느끼고, 많은 대금을 지불하고 매입하였고 이를 봉안하기 위하여 요선정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시골의 촌부들이 지켜낸 어제시

일개 촌부들이라고 하지만, 그만큼 나라사랑과 역사의식이 강했던 것이다. 자칫 일본으로 건너갈 뻔한 소중한 어제시 현판이, 수주면에 거주하는 원씨(元氏)·이씨(李氏)·곽씨(郭氏)의 3성이 조직한 요선계원들에 의해 지켜진 것이다.

숙종임금의 어제시 현판이 일본으로 건너갈 위기에 놓인 것을 많은 돈을 주고 돌려받은 무릉리 요선계원들. 그들이 진정한 우리 문화를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란 생각이다.



요선정으로 오르는 숲길 입구에 있는 작은 암자에 차를 대놓고, 주천강 옆으로 난 숲길을 오른다. 강바람인지 바람 한 점이 흐르는 땀을 닦으며 지난다. 예전에는 요선계원들이 지켜 온 어제시를 이제는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이 지키고 있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