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시 면천면 성하리 510에 소재한 영탑사. 해발 210m의 차령산맥에서 뻗어나간 상왕산 동쪽 산기슭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고찰이다. 영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로서 사적기가 없어서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말 풍수지리설로 유명한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충렬왕 때 보조국사 지눌이 중건했다고 한다.

 

영탑사라는 사명은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탑사에는 부처의 진신을 이르는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으며, 유리광전 뒤에는 바위 위에 7층 석탑이 서 있어 이름과 잘 맞아 떨어지는 절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바위를 기단으로 삼은 칠층석탑

 

영탑사 경내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로 지정이 된 영탑사 칠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인 1798년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이 석탑은 원래 7층탑이었던 것이 이후 훼손되어 5층만 남아있던 것을, 1920년대에 이 절의 신도들에 의해 다시 7층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영탑사 칠층석탑은 바위를 기단으로 삼았다. 별도의 석재로 구성한 기단부가 없이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칠층의 탑신을 올려놓았는데, 이 탑은 바위와 탑이 만나는 부분이 조금 어긋나 있어, 원래의 자리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탑신의 각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의 네 면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뜬 조각이 있다.

 

 

지붕돌은 1층부터 5층까지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처마의 선이 거의 직선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새로 조성한 6층과 7층은 네 귀퉁이에서 심하게 들리고, 밑면의 받침조각도 얇아서 서로 대조를 보이고 있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지극히 간략화 된 모습이다.

 

대원군 때문에 이곳으로 탑을 옮겼다고?

 

이 영탑사 칠층석탑에 대한 또 하나의 전설이 전하고 있다.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기 위해서 덕산에 소재했던 가야사를 불태웠는데, 이 대 가야사의 스님들이 영탑사로 금동삼존불과 법당의 범종을 옮겨왔다는 것이다. 후에 가야사가 불에 타면서 무너져 있던 탑도 옮겨와 이곳에 다시 쌓았다는 것이다.

 

 

현재 영탑사 경내에 보관 중인 범종은 영조 36년인 1760년에 만들어진 범종이다. 이 종에는 ‘17602월 가야사 법당 금종을 백근의 쇠를 녹여 만들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기 위해 가야사를 불태웠고, 그 때 범종을 영탑사로 옮겼다는 설이 맞아 떨어진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영탑사의 칠층석탑도 가야사에서 이곳으로 옮겨왔을 확률이 높다. 탑과 바위가 만나는 부분이 조금 어긋나 있는 것도, 탑을 단 곳에서 옮겨 왔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 가야사에서 이곳 영탑사로 옮겨온 범종과 보물인 금동비로자나불 삼존좌상이 모두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이기 때문이다.

 

 

가야사에서 옮겨온 탑에 무게를

 

영탑사에서 칠층석탑을 처음으로 대면을 할 때 참으로 특이한 탑이라는 생각을 했다. 아무리 바위 위에 탑을 조성한다고 해도 기단부를 놓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영탑사의 칠층석탑은 보조국사 지눌이 가야사를 중건할 범종과 샅은 시기에 가야사에 세웠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자연 바위 위에 올라있는 칠층석탑. 고려시대의 탑이라고 하는 영탑사 칠층석탑은 기교는 보이지 않지만 상당히 힘이 있어 보인다. 오층까지의 지붕돌과 6, 7층의 지붕돌이 경사면 등에서 많은 차이가 보이고 있어, 이 탑의 윗부분인 6, 7 층은 후에 보완을 한 것임을 알아 볼 수 있다.

 

충북 충주시 단월동 455에 소재한 단호사. 단호사의 창건연대를 알 수 없으나 조선 숙종 때 중건하여 약사(藥寺)라 하였고, 1954년에 단호사로 이름을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단호사 경내 대웅전 앞에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인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이 서 있다. 이 석탑은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터로 보이며, 1층 기단 위에 탑신부가 놓여 있다.

 

단호사 삼층석탑은 늙은 노송 아래 자리를 하고 있다. 이 소나무는 수령 540년 정도가 되었으며 나무의 높이는 8.5m에 나무둘레는 210cm 정도이다. 현재 충청북도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 있다. 이 소나무는 가지가 옆으로 뻗어 많은 지줏대를 설치해 놓았으며, 한 겨울에 만난 노송은 가지에 눈이 쌓여 그 멋을 더하고 있다.

 

득남을 하게 한 단호사 소나무

 

단호사의 소나무는 전설이 있다. 이 소나무는 조선 초기에 심어진 것이다. 수령이 540년 정도 되었으니 당연히 조선 초기에 심어졌을 것이다. 강원도 지방에 문약국을 경영하던 사람이 재산은 많은데 슬하에 물려줄 자손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자손이 없어 걱정을 하고 있는데 한 노인이 충주 단호사에 가서 불공을 드리면 득남을 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자손을 바라던 이 사람은 단호사에 와서 불당을 짓고 불공을 드리고 살다가 적적하여 뜰에 소나무 한 그루를 심고 아침저녁으로 불공을 드리면서 소나무를 지극정성을 돌보았다고 한다. 그러던 중 하루는 꿈을 꾸었는데 고향 집 마당에다 소나무를 심고 안방에 부처님을 모셔놓은 꿈을 꾸었다는 것.

 

더욱 기이한 것은 고향에 있는 부인도 꿈을 꾸었는데 단호사 법당이 자기집 안방으로 보였다는 것이다. 부인이 생각하기를 이렇게 같은 꿈을 꾼 것은 서로 모여 살라는 부처님의 뜻으로 생각이 들어 강원도의 재산을 정리해 단호사로 법당 옆에 살림을 차렸다. 그 후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게 되었다고 하는데, 그런 소문이 나자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불공을 드리고 소원성취를 하였다고 전한다.

 

처음에는 오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

 

소나무의 가지가 덮고 있는 삼층석탑은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에는 양우주가 가운데에는 탱주의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다. 이 탑은 일부가 약가 부서져 있다. 탑신부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인 양우주를 새겼다. 1층 몸돌은 제법 높직하며, 4층 몸돌의 일부로 보이는 석재가 놓여 있어 이 탑은 처음에는 오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각 지붕돌은 두껍고 투박한 모습으로 경사면이 급하게 처리되었고, 밑면에는 3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충주 지방의 탑들이 대개 산 위에 놓여 있는 것에 비해, 이 탑은 평지에 서 있어 눈길을 끈다. 규모는 작으나 격식을 충실히 갖춘 안정감이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과 지붕돌의 모습 등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답사 힘든 여정의 연속

 

단호사는 큰 절은 아니다. 하지만 대웅전에는 보물 제512호인 단호사 철조여래좌상이 모셔져 있어, 단호사는 처음 고려시대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한다. 전하는 소나무 전설에 보아도 이미 이곳에 조선 초기에 절이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눈이 내린 날 찾아간 충주 단호사. 비록 화려하거나 많은 전각이 있지는 않았지만 지방색이 강한 철불 등으로 보아, 철불과 석탑이 모두 옛 자리에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문화재를 찾아 떠나는 길은 늘 험난하다. 어느 곳 하나 편안하게 문화재를 만나지 못한다. 더울 때는 몸에서 쉰내가 나게 걸어야 하고, 땀을 비오 듯 흘려야한다. 겨울에는 카메라가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아 애를 먹기도 한다. 장마철이 되면 카메라라도 젖을까 걱정을 해야 한다. 그야말로 사시사철 고된 여정이다.

 

하지만 그런 고된 여정을 스스로가 택한 것이니 누구 탓을 할 것인가? 다만 한 가지 바람이 있다면 우리 모두가 문화재에 대해 조금만 더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몇 사람만 더 문화재를 아끼는 마음을 갖는다고 해도, 우리 소중한 문화재들이 지금보다는 더 보전이 잘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학교 교정 안에 문화재가 있는 것을 만난다. 주로 석탑이나 석불, 천연기념물 등인데. 천연기념물이야 교정이 있을 수가 있다고 하지만 석탑의 경우는 드믄 예이다. 그런데 이 석탑을 만나게 되면 조금은 마음이 편해진다. 우선은 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훼손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원촌길 8-14 (서동리) 춘양중학교 안에는 동, 서로 마주 서있는 2기의 탑이 있다. 학교 교정 한편에 서 있는 이 탑은 쌍탑형식으로 조성이 된 것이다. 이 춘양중학교는 원래 신라의 옛 사찰인 람화사의 옛터로 알려져 있다. 람화사는 신라 문무왕 16년인 675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서북쪽으로 6정도 떨어진 곳에, 현재의 각화사를 창건하면서 이 절은 폐사되었다고 전한다.

 

같은 양식으로 조성한 두 기의 탑

 

보물 제52호로 지정이 된 봉화 서동리 동, 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한 탑이다. 이 쌍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두 탑이 모두 같은 양식으로 조성이 되었다. 기단은 아래와 위층 모두 4면의 모서리에 양우주를 돋을새김 하였고, 가운데도 기둥 모양의 조각인 탱주를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층으로 갈수록 규모가 줄어들어 뚜렷한 체감율을 보인다. 각 층의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양우주를 새겨 두었다. 그리 두껍지 않은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서쪽 탑에만 네모난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이 남아있을 뿐이며, 동쪽 탑은 모두 없어졌다.

 

기단부가 땅 속에 파묻혀 있고 탑이 몹시 기울어져 있어, 196210월에 해체, 복원하였는데, 이 때 서탑에서는 사리함을 넣었던 공간이 발견되었다. 동탑에서는 사리병과 함께 99개의 작은 토탑(土塔)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비례와 정제된 조형미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안에서 만난 쌍탑과 머리 없는 석불좌상

 

봉화군 춘양면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산재해 있다. 특히 봉화는 정자가 100곳 이상이나 있는 곳이다. 그만큼 이곳은 옛 선인들이 즐겨 살았음을 알 수 있다. 한 개 군에 100개가 넘는 정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답사의 즐거움은 배가가 된다. 거기다가 고택과 문화재들이 즐비하다.

 

12월 초 겨울에 찾아갔던 봉화. 예정은 하루만 이곳을 답사하리라 마음을 먹었지만, 하루 만에는 도저히 이곳을 떠날 수가 없었다. 주머니 사정만 여유가 있었다고 하면 아마 일주일은 족히 이곳에서 문화재를 찾아 다녔을 것이다. 하지만 경비를 줄이고 줄여 23일을 봉화에서 머물렀다.

 

23일의 봉화 답사 끝날에 만난 봉화 서동리 동, 서 두 개의 탑. 비록 기단부가 쪼개져 떨어져 나가고, 지붕돌인 덮개석도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통일신라 말기의 단아한 형태를 자랑하는 2기의 석탑은 그렇게 나그네를 반기고 있었다. 바람이 심하게 불어 날씨는 쌀쌀했지만 그 자리에서 떠날 수가 없었던 것은, 그 단아한 자태에서 풍기는 기품때문이었다.

 

탑의 촬영을 마치고 주변을 돌아보니, 나무 밑에 석불좌상 한 기가 보인다. 하지만 머리가 사라져 다시 조성을 했는데, 영 보기가 민망스럽다. 전국을 다니다가 보면 수없이 만나게 되는 머리없는 석불들. 도대체 누가 무슨 이유로 이렇게 석불의 머리를 훼손한 것인지. 자신의 문화재를 훼손하는 이런 작태야말로 이 민족의 문화재에 대한 의식이 엉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재란 보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손들에게 그대로 물려주어야만 한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한 자리를 지키면서 전해진 수많은 문화재들을 돌아보면서, 과연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후일 우리의 후손들에게 제대로 된 조상으로 대우를 받을까? 두렵기만 하다.

 

문화재란 늘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하지만 숱하게 훼손이 되어있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부끄럽고 죄스럽기 때문이다. 후에 역사는 우리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생각하면.

경북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구덕리)에 소재한 송림사. 팔공산 자락에 위치한 송림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대구 동화사의 말사이다. 송림사 경내에는 통일신라 시대의 전탑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9세기 이전에 창건이 된 사찰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가 없다.

 

통일신라 때부터 고려 때까지 번성했던 것으로 보이는 송림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왜병들의 방화로 인해 선조 30년인 1597년에 모든 전각들이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경내에는 1649년에 조성한 대웅전이 가장 오래된 중심 전각이며, 1655년에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상이 조성되기 시작하여 1657년에 봉안되었다.

 

드물게 만나게 되는 5층 전탑

 

보물 제189칠곡 송림사 오층전탑(漆谷 松林寺 五層塼塔)’은 송림사 대웅전 앞에 서있는 5층 전탑이다. 흙으로 구운 벽돌을 이용해 쌓아 올린 이 전탑은 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만 화강암을 이용해 1단으로 마련하였으며, 그 위에 올린 탑은 모두 벽돌을 구워 정교하게 쌓아올린 전탑니다.

 

 

이 전탑은 기단의 4면에는 각 면의 모서리에 양우주를, 가운데에는 기둥 모양의 탱주를 조각하였다. 탑신은 모두 벽돌로 쌓아올려 조금은 둔탁한 감을 주고 있다. 2층 이상의 몸돌은 높이가 거의 줄어들지 않아 전체적으로 높아 보이나, 각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이 넓은 편이어서 안정되고 온화하다.

 

금동상륜부 모조품이지만 정교함을 볼 수 있어

 

지붕은 벽돌로 쌓은 전탑인 점을 고려한 듯, 밑면의 받침부분 외에 위의 경사면까지 층급을 두어 쌓았다. 꼭대기에는 금동으로 만든 머리장식이 남아있는데, 이는 1959년에 해체하여 복원작업을 하면서 원형대로 모조한 것이다. 이 금동상륜부를 보면 비록 모조품이긴 하지만, 통일신라시대 금동 상륜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송림사 오층전탑은 기단부서부터 상륜부까지 원형 그대로를 보존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한 가치가 있는 문화재이다.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이 5층 전탑은, 해체보수를 하면서 탑신의 몸돌 내부에서 나무로 만든 불상과 사리장치 등이 발견되었다.

 

보물 제325호 오칭전탑 사리장엄구

 

19595층 전탑을 해체 수리 때 발견된 일련의 사리장엄구이다. 이 유물은 제 2층 탑신에 거북모양의 석함을 안치하고 그 속에 들어 있었다. 전각형의 금동사리기는 기단 위에 네 기둥을 세우고 뚜껑을 덮은 형식이며, 안에는 유리제 잔과 그 안에 유리제 사리병을 안치하였다. 기단 밑에는 금판으로 복련을 돌리고 그 위에는 난간을 돌렸다.

 

 

기둥은 난간 안에서부터 세워서 사방이 터졌고 바닥 중앙에는 금판을 오려서 앙련을 만들었다. 보개는 2중이고 투각무늬가 있으며 금판으로 만든 연꽃으로 장식되었다. 보개 밑에는 4면에 모두 수식이 있고 네 귀에서는 영락이 길게 기단까지 늘어졌다.

 

수형장신구는 금판에 도금하였고 밑이 뾰족한 줄거리를 중앙에서 세로로 약간 접어서 모를 내고 옆으로 가지가 나 있다. 가지에는 약 200여 개의 원형 영락을 단 수법이 신라시대 장신구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 탑에서는 각종 옥. 금동제원륜. 은환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2층 탑신에서는 거북 모양의 석함이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서 탑 모양을 한 금동 사리기가 나왔다. 이 녹색의 투명 유리병은 금동사리기 중앙에 놓여있던 컵 모양의 유리잔 속에 들어있던 것이다. 높이 6.3, 배지름 3.1로 약간 황갈색이 도는 녹색의 투명한 유리로 만들어졌으며, 배가 부르고 목이 긴 형태를 하고 있다. 짙은 녹색의 보석형태를 한 마개가 달려있다.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소재한 사적 제317호인 미륵대원지. 1982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발굴한 바 있으나 확실한 년대는 알 수 없고, 발굴 당시 미륵대원이라고 쓰인 기와가 발견되어 삼국유사에 기록된 미륵대원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런 기록으로 보아 일연 스님이 살았던 그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 고려 초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 발굴 당시 출토된 관련 유물과 기록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 미륵대원은 고려초기인 11세기경에 창건되었다가, 고려후기인 고종 때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옛 기록에 전하는 계립령과 충북과 경북을 연결하고 있는 하늘재 사이의 분지에 남북향으로 펼쳐진 사지이다. 여기에 석굴사원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소실되고 현재는 석조물만 남아 있다.

 

고려 초기에 세워진 5층 석탑

 

미륵대원지는 사적 제317호로 1987710일 지정되었다. 이 미륵대원지 내에는 보물 제95호인 5층 석탑과 제96호인 석불입상이 있고, 그 외에도 충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19호인 석등과 33호인 3층 석탑 등이 남아있다. 이 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굴이 만들어졌던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앞쪽에 석등과 더불어 보물 제95호로 지정된 충부 미륵리 오층석탑이 자리를 하고 있다.

 

미륵대원 5층 석탑의 하층 기단부는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난 돌로 조성을 했다. 특별하게 장식은 하지 않았으며, 그 위로 기단의 맨 윗돌이 올려져있다. 탑신은 1층 지붕돌인 옥개석만 2장일 뿐, 나머지 몸돌이나 다른 지붕돌은 모두 1장의 돌로 되어 있다. 각 층의 몸돌에는 몸돌의 넓이에 비하여 좁은 기둥인 양우주를 모서리에 새겼다.

 

 

옥개석인 지붕돌은 급격하게 좁아져 석탑 전체의 균형과 미관을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지붕돌의 밑면의 받침은 5단이지만, 추녀가 짧아서 6단인 것처럼 보인다. 처마는 수평이고 지붕돌의 경사는 매우 급한데 귀퉁이는 거의 위로 치켜져 있지 않다.

 

철간이 남아있는 미륵대원 5층 석탑

 

미륵대원 5층 석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머리장식의 받침인 노반과 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인 복발이 남아 있다. 노반은 6층 지붕돌로 보일 만큼 큼직하게 조성하였고, 복발은 반원 모양이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의 중심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긴 쇠꼬챙이 모양의 찰간이 남아있다.

 

5층 석탑은 5단의 지붕돌 밑면받침과 직선의 처마는 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따른 것인데 비해, 지붕돌의 급경사와 형식적인 기둥새김 등을 보면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석탑은 신라가 망한 뒤 금강산으로 들어가던 마의태자사 신라 석굴암을 따라 조성한 석굴불상으로 조성한 앞에 세운 고려 초기의 탑이라는 것에 비중을 둘 수 있다.

 

눈이 발목까지 빠지는 날 찾아갔던 충주 미륵대원지. 눈이 쌓인 석조물들의 정취가 더 없이 고풍스러워 보인다. 한 겨울에 답사를 하는 이유는 여름철에는 볼 수 없는 이러한 또 다른 풍광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의태자가 세웠다고 전하는 충주 미륵대원지. 아마도 그곳에서 마의태자는 망해버린 신라가 안타까워 모든 설음을 잊고자 미륵세계가 올 것을 간구한 것은 아니었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