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풍습에 매향(埋香)’이란 의식이 있었다. 이 의식은 하늘과 땅의 신을 모시기 위한 의식으로, 향나무를 땅에 묻거나 피우는 의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 때 이러한 의식을 행하는 과정과 시기, 그리고 관련된 집단이나 사람들을 기록한 돌을 <매향비>라고 한다. 매향비는 다듬은 돌에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다. 커다란 바위에 그대로 기록을 해 놓는 형태도 있다.

 

매향의식은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을 땅에 묻는데, 매향 의식은 고려 때도 성행하였으나, 그 후 불교에 대한 억제가 강화되던 조선조 초기에 극락정토로 갈 것을 기원하면서 비를 세우던 비밀 종교행위의 하나이기도 하다. 매향은 주로 민초들이 즐겨했으며, 순수한 민간신앙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미륵의 세계를 그린 민초들의 염원

 

지금까지 발견된 매향비로는 13098월에 세운 고성삼일포 매향비를 비롯하여, 13353월에 세운 정주 매향비, 1387년에 세운 사천 매향비, 1405년에 세운 암태도 매향비, 1427년에 세운 해미 매향비 등이 있다.

 

충남 당진시 정미면 수당리 당진안국사지매향암각은 자연석의 거대한 통바위로서 규모는 높이 2.93m, 길이 13.35m, 2.5m이다. 이 매향비를 마을에서는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다. 마치 그 형태가 배 모양 같다 하여 '배바위' 또는 고래모양이라 하여 '고래바위' 또는 베틀에 딸린 북모양이라 하여 '북바위'등으로 불리우며 동쪽으로 머리를 두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63호로 지정되어 있는 배바위의 암각 명문은, 매향과 관계된 고려말, 조선초의 기록으로서 전국에서 발견된 매향관련 명문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의 자료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성시기를 달리하는 2건의 매향자료가 기록되어 있어, 안국사지 및 주변지역의 역사와 매향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사라진 안국사, 어떤 절이었을까?

 

백제 때에 창건해 고려 때에 번창한 큰절이었다던 안국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미현조에 보면 안국산에 안국사가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절 뒤편에 산을 은봉산 혹은 안국산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한 안국산 안국사는 현재 절터가 남아있는 이곳을 가르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발굴조사 시 발견된 유물 등에서 나타난 명문 등을 보면, 고려 현종10년인 1030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안국사지는 거란의 세 차례 침입 후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건립됐음이 석불입상을 보호하던 금당의 명문기와에 의해 밝혀진 천년고찰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중창을 하였으나, 다시 폐사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많은 절들이 이렇게 중건과 소실, 혹은 폐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긴 시간을 전해진다. 그러나 다행한 것은 석불과 석탑 등이 남아 그 역사의 흔적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 역사의 흔적이 그 자리에 남아 있을 때야 추정이 가능하지만, 지금처럼 이리저리 그 소중한 문화재들을 옮겨 다니면 그도 힘들어질까 걱정이 된다.

 

 

당진군은 보물 제100호인 석불의 주변을 정비한 것에 이어, 보물 제101호인 삼층석탑과 매향암각의 주변을 정비하고, 금당을 복원한다는 계획을 세운바 있다. 이렇게 모든 것의 복원을 마치게 되면, 과거 안국사의 형태를 제대로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보호란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실행하는 것이란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34-11에 소재한 보물 제563여수 흥국사 홍교 (麗水 興國寺 虹橋)’. 흥국사 입구에 있는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를 말하는 것이다. 이 흥국사 홍교는 인조 17년인 1639년에 세워진 다리로, 지금까지 알려진 무지개형 돌다리 중에서는 가장 높고, 긴 다리이기도 하다.

 

언제 찾아가도 주변 경치와 잘 어우러진 이 다리는, 개울 양 기슭의 자연 암반에 기대어 쌓았다. 부채꼴 모양의 돌을 서로 맞추어 들어 올린 다리 밑은,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가 아릅답게 조형이 되어있다. 이 흥국사 홍교의 특징은 양옆으로 둥글둥글한 돌로 쌓아올린 벽이다. 마치 학이 날개를 펼친 듯, 길게 뻗쳐 조화를 이룬다.

 

 

계특대사가 조성하였다는 홍교

 

이 흥국사 홍교는 인조 17년인 1639년에 계특대사가 화강석을 이용하여 쌓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주변 경치와 어울려 하나의 아름다운 조형물로 평가되는 이 홍교는, 다리 아래로 흐르는 하천의 암반 위에 편단석을 놓고, 그 위로 같은 형태의 석재를 층층이 쌓아 홍예를 조성하고 있다.

 

86괴의 장방각석이 반원의 형태를 이루면서, 정확한 각을 이루어 스스로 지탱하도록 하였다. 그 당시에 어떻게 이렇게 견고하게 홍예를 조성할 수가 있었는지 놀랄 만하다. 다리의 총 길이는 11.8m이며 폭은 2,7m, 높이 5.5m의 흥국사 홍예교. 흥국사를 답사할 때 들렸던 이 무지게 다리는 아직도 눈에 삼삼하다.

 

 

자연잡석을 이용한 노면

 

기하학적인 정확한 각을 이루어 스스로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조형을 한 흥국사 홍교. 그러나 1981년 폭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붕괴가 되었으나, 그 이듬해 복원을 하여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홍예의 한복판에는 양쪽으로 마루돌이 튀어 나와, 그 끝에 용머리를 장식하여 마치 용이 다리 밑을 굽어보고 있는 듯하다.

 

양측벽은 자연잡석을 마구 쌓기로 하여, 완만하고 긴 노면을 형성하고 있다. 잡석을 쌓은 양쪽 석벽 하류는 여유 있는 날개 모양으로 전개되어, 수압 및 자체 하중에 견디도록 구축하였다. 홍예의 석축 위에는 흙을 쌓아 자연 노면을 만들었는데, 그 양쪽 가에는 풀이 나서 자연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선조들의 놀라운 조형술

 

우리나라의 많은 돌다리 중 홍예교를 보면 가히 놀랄 수밖에 없다. 어떻게 그리 정확한 수치로 계산을 해, 한 장의 돌이 아닌 여러 장의 석재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 돌들이 서로 버티면서 무너지지 않고 오래도록 갈 수 있는 것인지. 선조들의 조형술은 가치 압권이란 생각이다.

 

늦은 가을에 찾아갔던 흥국사 홍교. 아마도 수많은 문화재를 보기위해 전국을 다녔지만, 그 중에서 만난 석교 중에서도 주변 경치와 가장 잘 어울리는 다리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올 가을 단풍이 흐드러지게 드는 날 다시 한 번 찾아가 보아야겠다. 문화재란 늘 잊지 않고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기 때문이다.

 

아마 명칭을 육송정 홍교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이 다리 부근 어딘가에 육송정이라는 정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보물 제1337호인 고성 육송정 홍교는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에 위치하고 있다. 소재지가 두 곳의 지명을 사용하는 것은, 이 홍교를 놓은 내가 해상리와 탑현리의 경계가 되기 때문이다.

 

간성읍에서 고성 건봉사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군 훈련장과 같은 곳이 보인다. 그리고 현재 사용하는 다리 옆에 육송정 홍교가 자리하고 있다. 이 홍교는 보물인 건봉사 능파교와 비슷한 시기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조 영조 24년인 1748년에 편찬된 간성군읍지에는, 이 홍교가 언제 만들어졌는지 모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 점으로 보아 건봉사 능파교보다 앞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연 암반을 이용해 축조한 홍교

 

육송정 홍교는 하천의 폭이 12.3m 정도가 되는 곳에, 10.6m의 다리를 놓았다. 다리 위는 양편으로 네모난 장대석을 줄지어 놓고, 그 위에 황토 등으로 메우는 방법을 택했다. 다리 밑으로 내려가 본다.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육송정 홍교는, 동쪽은 그대로 암반을 이용해 그 위에 홍예돌과 비슷한 크기의 장대석을 올렸다.

 

서쪽은 3단의 지대석을 쌓은 뒤, 그 위에 홍예석으로 올리는 방법을 택했다. 이 지대석의 1단은 땅 속에 묻혀있어, 그 크기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2단과 3단의 지대석은 커다랗고 네모난 돌을 사용했으며, 각각 두 장의 돌을 붙여놓았다. 그 크기는 2단의 높이가 70cm 정도이고, 3단은 60cm 정도인데, 3단의 가운데는 안쪽으로 파손이 되었다.

 

 

이 육송정 홍교는 축조한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능파교와 함께 영조 21년인 1745년 대홍수 때 붕괴가 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능파교를 축조한 숙종 30년인 1704년이나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한다.

 

꾸밈이 없는 단아한 육송정 홍교

 

이 육송정 홍교의 특징은 홍예와 날개벽 사이의 교각 면석을 장대석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자연적인 냇돌을 사용하였는데, 아래편에는 큰 돌을 위편에는 작은 돌을 써서 무게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단칸 홍교로는 보기 드물게 단아한 형태로 축조가 된 육송정 홍교는, 20066월에 홍교를 해체 복원하였다.

 

 

홍예를 구성하고 있는 장대석은 갈고 짧은 것을 적당히 섞어 공고하게 축조를 하였다. 2~3장의 장대석으로 이를 맞추어 쌓은 홍예는 매우 견고하게 보인다. 홍예밑으로 흐르는 물은 암반 위로 흐른다. 하기에 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을 듯하다.

 

동편 홍예의 지대석을 자연 암반을 그대로 이용하여 쌓은 육송정 홍교는 단아하다. 화려하게 모양을 낸 여느 홍교와는 달리 고졸한 멋을 풍기고 있다. 다리 하나를 놓으면서도, 이런 세세한 면까지 신경을 쓴 선조들의 지혜에 감탄을 할만하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을 닮았다는 생각이 드는 육송정 홍교. 아마도 이 다리가 그렇게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것도,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은 아닌지. 육송정 홍교 위에 서서, 몇 번이고 소리를 내어 감탄을 한다.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이곳이 어디라고 하면 잘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원주 거돈사지라고 한다면 웬만한 사람들은 '아! 그곳'하고 알 수도 있다. 부론면 소재지에서 정산리로 가는 고갯길은 넓지가 않다. 가다가 큰 차라도 만나면 비탈 옆으로 바짝 차를 붙여야만 할 때도 있다. 어제부터 내린 눈이 걱정스럽기도 했지만, 다행히 명절 때라 고향으로 찾아올 사람들 때문에 도로에 눈은 말끔히 치워졌다.

 

석장승 2기가 길 가에 서 있어

 

삼거리에서 정산1리를 지나 2리로 들어가면 마을회관이 나온다. 그곳을 지나면 우측에 석장승 2기가 마주하고 서 있다. 장승은 길을 가운데 두고 마주서게 자리를 잡지만, 정산 2리의 석장승은 길가 우측에 마주하고 있다. 길에서 보면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 지하여장군이고, 길과 마주하고 있는 것이 천하대장군이다.

 

 

이 석장승의 옆에는 각각 솟대를 세워놓았다. 천하대장군은 사모를 쓰고 눈과 코는 돋을새김을 하였다. 그리고 이빨을 큼지막하게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다. 복판에는 네모나게 자리를 내고 천하대장군이라 한문으로 썼으며, 허리 부분을 금줄로 묶어 지하여장군과 연결해 놓았다. 지난해 친 금줄은 낡고 색이 변했지만, 이 마을이 장승제를 거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하여장군은 비녀를 꽂은 형상이다. 그리고 눈과 코 이빨은 천하대장군과 다름이 없다. 복판에는 지하여장군이라 한문으로 음각을 하고, 허리에 금줄을 묶어 천하대장군과 연결을 했다. 그리고 또 한 줄은 각 장승과 함께 있는 솟대에 연결을 했다. 금줄은 왼새끼를 꼬아 두르는데, 한번 두른 금줄은 다음 해에 새로운 제를 지낼 때까지 그대로 놓아둔다.

 

천하대장군인 숫장승은 귀가 크고 눈과 코를 돋을새김을 하였다

지하여장군은 비녀를 지른 형태로 조형을 하였다. 솟대와 함께 서 있다.

솟대는 위에 기러기를 올린다. 기러기는 멀리 날 수가 있다고 하여. 멀리서 오는 액을 막는다는 뜻이다.

 

거돈사지 앞에도 장승이

 

정산2리를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정산 3리가 된다. 이곳에는 사적 제168호인 거돈사지가 있다. 신라 때에 창건된 거돈사는 임진왜란 때에 소실이 되었다고 한다. 거돈사를 들어가기 전 우측에 폐교가 된 학교가 있다. 그 담장 밑에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여러 기가 서 있었다. 눈길을 달려 온 것도 기축년을 보내고 경신년을 새롭게 맞는 날에, 묵은 것을 장승에 빌어 다 털어버릴 생각에서다. 그리고 눈이 쌓인 목장승의 모습을 담고 싶어서이기도 하다.

 

한 5 ~ 6년 전인가 이곳 거돈사지를 찾았을 때 만났던 목장승군. 아마 7 ~ 8기나 되어 보이는 목장승들이 서로 어깨를 기댄 채 돌무지 위에 서 있었다. 그 목장승군이 그렇게 정겨워보였다. 그러나 그 자리에 가니 목장승이 보이지가 않는다. 그 대신 정산 2리의 석장승과 같은 장승이 이곳에도 마주하고 서 있다.

 

매년 해를 거르지 않고 제를 지내는 정산리. 그런데 왜 목장승을 없애고 석장승으로 대체를 한 것일까? 물론 목장승은 매년 새로 깎아서 세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바꾼 것일까?

 

정산3리 거돈사지 앞에는 이런 목장승이 서 있었다.

 목장승을 대체한 정산 3리의 석장승

천하대장군. 밑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장승을 얹었다.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장승을

 

정산 3리의 장승은 색다르다. 먼저 기단인 네모난 기단석을 놓고 그 위에 장승을 세웠다. 천하대장군은 폐교 담장 쪽에 서 있고, 지하여정군은 길 쪽으로 서 있다. 이곳도 두 장승이 마주하게 놓았는데, 지하여장군은 길을 등지고 서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정산 2리의 장승과 다름이 없다. 그런데 이 장승들을 보니 특이한 점이 있다.

 

솟대가 나무를 깎아 대를 세우고 그 위에 기러기를 올린 것이 아니고, 장승의 머리 위에 크게 기러기를 깎아 올려놓았다. 천하대장군의 머리 위에는 검은 색 기러기를, 지하여장군의 머리 위에는 붉은색 기러기를 올려놓았다. 허리춤 밑으로 묶은 금줄도 서로 연결이 되지 않았다. 몇 년만에 찾아온 정산리. 바쁘게 달려와 목장승 머리에 쌓인 눈을 보고 싶었는데, 그 대신 이렇게 돌로 깎아 색다르게 변한 장승을 보게 되다니.

 

천하대장군의 머리 위에는 검은 기러기를 올렸다

지하여장군의 위에는 빨강 기러기를 올려 놓았다.

 

그러나 그런 형태를 중시하는 것은 아니다. 장승을 세우고 정성을 드리는 것은, 모두 마을의 안녕을 빌기 위함이다. 이곳 정산리의 주민들과, 이곳을 찾는 모든 이들이 모두 평안한 경인년이 되기를 바란다. 눈이 쌓인 곳에 발을 묻고 있는 장승들. 그 차디찬 석장승의 얼굴에 미소를 머금은 듯하다. 계사년에는 좋은 일만 생기려나.

금강산의 한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절의 앞 계곡으로 맑은 물을 보낸다. 그 위에 석재로 된 다리는 우리나라의 많은 홍예교 중에서도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 있다. 보물 제1336호인 능파교’. 이름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이 다리는,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38 ~1 건봉사 경내로 들어가는 다리이다.

 

다리가 있는 곳은 신라 법흥왕 7년인 520년에 아도스님이 창건을 해 원각사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절이다. 그 뒤 신라 말에 도선국사가 절 서쪽에 봉황새처럼 생긴 돌이 있다고 하여, 서봉사라고도 불렀다. 현재의 명칭인 건봉사는 고려 공민왕 7년인 1358년에 나옹스님이 붙인 이름이다.

 

 

여러 번 수난을 당한 능파교

 

1월 6일 찾아간 고성에서 만난 다리. 능파교는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이다. 다리는 한 칸의 홍예를 조성한 것으로는, 그 규모가 상당히 규모가 크다. 폭이 3m에 길이는 14.3m에 이른다.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능파교는 조선 숙종 34년인 1708년에 건립된 능파교신창기비(凌波橋新創記碑)가 남아있어, 축조된 시기 및 내력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다. 비문에 따르면 숙종 30년인 1704년부터 숙종 33년인 1707년 사이에 처음으로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영조 21년인 1745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가 된 것을, 영조 25년인 1749년에 중수하였다. 고종 17년인 1880년에 다시 무너져, 그 석재를 대웅전의 돌층계와 산영루를 고쳐 쌓는데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능파교 홍예틀과 접하는 호안석 중 변형을 해체하여 원형을 찾아 보수를 하였다. 그러나 보수를 하던 중에 능파교가 훼손되어, 문화재 전문가의 도움으로 200510월에 원형 복원을 하여 오늘에 이른다.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홍예교

 

능파교는 다리의 중앙부분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틀고, 그 좌우에는 장대석으로 쌓아서 다리를 구성하였다. 홍예는 하부 지름이 7.8m이고 높이는 기석의 하단에서 4.5m이므로, 실제 높이는 이보다 조금 더 높다.

 

지난 410일 고성지역을 답사하면서 찾아간 능파교. 아직 이른 철이기는 해도 많은 사람들이 능파교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다. 능파교 밑으로 흐르는 물은 맑기만 하다. 주변에는 산수유가 망울을 터트려 사람들을 즐겁게 만든다.

 

능파교의 교각 밑으로 들어가 본다. 밑에서 바라보니 능파교의 양편으로 삐죽이 고개를 내민 산영루의 처마가, 마치 능파교에 날개를 달아놓은 듯하다. 장대석으로 고르게 쌓은 홍예를 바라보고 있자니, 과거 석재를 이용한 조상들의 조형술에 감탄이 절로 터져 나온다. 어떻게 이렇게 반듯하니 돌을 쌓아올려 서로 버티는 힘을 이용할 수가 있었을까?

 

 

수많은 사람들이 그 다리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지만, 그 많은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축조를 하였다니 그저 놀랍기만 하다. 다리 밑으로 흐르는 맑은 물에 손을 넣어본다. 폐부 깊숙이 한기가 전해진다. 한 여름에도 이곳은 물이 차가워 오래 물속에 있지를 못하는 곳이다. 그만큼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곳이기도 하다.

 

석재를 이용해 조성한 다리 하나가 갖는 의미. 그저 다리라는 것이 사람들이 건너기 위한 조형물이려니 생각을 하겠지만, 그 다리가 결코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과거 우리의 모든 건축물은 결코 자연을 넘어선 적이 없다. 그것이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될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