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에서 59번 도로를 타고 월악산국립공원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좌측에 커다란 기와집 한 채가 보인다.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460 - 6에 소재한 이 고택은 청백리로 유명한 방촌 황희(1363~1452) 정승의 옛 집이다.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3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가옥은 안채 및 사랑채, 중문채, 고방채가 있고 우측에는 사당이 마련되어 있다. 도로변에 있어 찾기도 수월한 이 고택은, 문경지방 양반의 주거지로 사랑채와 안채의 연결부분이 서로 독립된 공간구성으로 마련되어 있다. 여느 고택에서는 볼 수 없는 공간구성을 하고 있는 장수황씨 종택은, 류성룡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현감을 지낸, 칠봉 황시간(1588~1642)이 35세 때 살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가옥이다.

 

종택의 중후함이 느껴져

현재의 건물은 당시의 모습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집이라는 것이 살다가보면 손을 보게 되고, 필요에 따라 증축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400년 전의 집이 그대로 형태를 보존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4칸으로 구성 된 솟을대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사랑채가 자리하고 그 오른편에 안채가 있다. 그리고 안채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양반집의 어디나 그렇듯 사랑채 오른쪽으로 중문채가 있었으나, 화재로 중문과 마구부분이 소실되고 현재 일부만 남아있다.

사랑채는 전면에 툇간을 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좌측 2칸에 난간을 돌린 마루를 두고 2칸 온돌방과 연결시켰다. 우측 칸은 전면에 다락방을 설치하고 하부는 수장공간으로 활용한 점도 이 집의 특징이다. 뒤쪽으로는 반칸 정도의 감실을 두고 다시 온돌방을 설치한 3겹의 칸살로 구성되었다. 팔작집으로 마련한 사랑채는 평범한 듯 보이면서도, 나름 들어나지 않는 멋을 보이고 있다.




사랑채는 우측 한칸을 개방하여 누정식으로 사용을 하고
좌측의 다락방 아래는(맨 아랫사진) 수장고로 사용을 하고 있다.

안주인의 생활을 보호한 안채의 구성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2칸의 ㄱ자형으로 구성된 평면공간이다. 안채는 사랑보다 조금 뒤쪽으로 물려서 구성을 했다. 안채의 꺾어진 부분에는 사랑과 유사한 안사랑공간을 만들었다. 사랑채 쪽으로 툇간을 두면서 뒤편으로 방을 배치하여 사랑과 연결을 하였으며, 전면으로 2칸 온돌방을 마련하여 앞쪽에서의 시선을 차단시켰다. 중앙의 2칸 대청을 중심으로 볼 때, 좌측부분은 안사랑 공간으로 마련하고 우측이 일반적인 안채의 기능을 하고 있다.

안채는 지금은 앞쪽이 훤히 트여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중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안채를 둘러 싼 안담이 있었을 것이다. 여지저기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이는 안채는 창호지가 다 찢겨져 너덜거린다. 도로변에 자리한 종택은 지나는 사람들이 들렸을 것이고, 많은 사람들에 의해 훼손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어디를 가나 전각의 건물 대부분이 이렇게 창호지가 찢겨져 있는 것을 보면, 우리의 문화수준은 기대치 이하라고 밖에는 볼 수가 없다.



안채는 ㄱ 자형으로 꾸며 꺾인부분에 안사랑과 안방 , 윗방을 배치해
안채 여인들의 생활을 보호한 점이 특이하다. 

사랑과 안채를 연결하는 중문채는 중문 등이 사라져 버려 뭉텅 잘린 느낌이 든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되어있으며, 문쪽으로 1칸의 마루를 놓고 방이 둘러쌓고 있는 형태이다. 제대로 복원을 하면 양반가의 위엄을 보일 수 있는 장수황씨 종택. 집안을 돌아보면서 어딘가 허전한 느낌이 든다.

여기저기 부족한 부분이 집의 전체적인 구성을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다. 언제나 예전의 모습을 찾을 수 있으려는지. 못내 아쉬운 종택을 뒤로하면서 발길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