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째 저서로 매년 한 권씩 무예관련 책 펴내

 

결코 쉽지 않은 일을 끝없이 해내는 학자가 있다. 해마다 한 권씩 우리무예에 관한 저서를 펴내는 최형국 박사는 중앙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한국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경기대학교 Post-doc 연구원을 거쳐 무예사와 전쟁사, 문화사 등을 연구해 왔다. 중앙대 강사와 한국전통무예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 시범단에서 상임연출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의 저서로는 친절한 조선사(2007), 조선무사(2009), 조선후기 기병전술과 마상무예(2013), 조선군 기병전술과 동아시아(2014), 정조의 무예사상과 장용영(2015), 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2016)등과 TV 역사물의 고증 한계와 그 대안, 조선후기 무과에서의 격구 도입배경과 그 실제, 17세기 대 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변화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조는 왜 무()에 집착했는가?

 

정사를 살피는 정전 위에 올라 처음으로 신하들과 대화를 나눴던 정조는 첫 번째 아침 조회에서 민산(民産), 인재(人材), 군정(軍政), 재용(財用)이라는 네 가지의 정치개혁을 공표하고 그 이유를 하나하나 예를 들어가며 신하들에게 설명하였다.

 

그 중 첫째 민산은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탐관오리들을 색출해야 가능하다고 했다. 둘째 인재가 의미하는 것은 교육을 통해 좋은 사람을 키우라는 것이며, 셋째 군정이 의미하는 것은 이기는 싸움을 할 줄 아는 국방력을 쌓으라는 것이다. 정조는 국가의 위기상황에서 반드시 이기는 전쟁을 펼칠 장수와 군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끝으로 재용이 의미하는 것은 극가의 재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라는 것이다. 정조는 국가가 세금으로 거둬들인 돈을 정차적인 상황으로 인해 함부로 퍼주지 말 것을 강조하였다. 정조가 늘 마음에 담고 있었던 것은 금()과 용()의 정신이었다. 그런 실학적 고민이 18세기 조선을 풍성하게 만들었으며 그 바탕에는 무()가 있었다고 저자는 그의 저서 정조의 무예사상과 장용영편에서 이야기 했었다. 오직 삶 전체가 무예와 정조, 그의 철학 등만 생각하는 저자의 이번 저서 무예 인문학 - 전통 무예에 담긴 역시 · 문화 · 철학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2, 8장에 이르는 주옥같은 저서

 

저자 최형국은 오직 마음속에 무인(武人)’이라는 글자를 생각하며 한 손에는 칼, 그리고 한 손에는 펜을 들고 살아가는 이 시대의 젊은 실학자이다. 이번 저서 무예 인문학은 모두 2부 전8장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무예에 관한 저자의 고민이 얼마나 깊었는가를 알 수 있는 역작이다.

 

1부는 무예에 담긴 인문학편으로 1장 무예에 스며든 문화, 2장 철학적인 무예, 3장 무예에 종착점, 전쟁, 4장 칼로 쓰는 역사이다. 2부는 몸으로 읽는 인문학편으로 제5장 무예는 몸으로 실천하는 인문학, 6장 무예의 삶, 무인의 삶, 7장 칼을 품은 무인의 마음, 8장 배우고 수련하니 기쁘지 아니한가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인물과 사상사에서 201758일 초판 발행된 이번 저서 무예인문학은 가격 15,000원이다.

최신 댓글